자기계발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레임>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책 정리 최인철 교수의 『프레임(Frame)』은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심리학 도서입니다. 이 책은 "프레임"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람들이 같은 상황에서도 다른 해석을 내리는 이유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선택과 행복한 삶을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프레임』 핵심 정리1. 프레임이란?프레임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자 틀.같은 사실도 어떤 프레임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됨.무의식적으로 작동하며 우리의 감정, 사고방식, 행동을 결정함.2. 주요 내용 요약(1)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우리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프레임을 통해 해석함.같은 사건도 프레임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음.(2) 해석의 차이동일한 상황에서도 사람마다 .. 더보기 <원씽>게리 켈러, 제이파파산 책 리뷰 이번엔 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책의 시작은 '두 마리 토끼를 쫓으면.. 두 마리 다 잡지 못하고 말 것이다.'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책의 시작에 쓰여있는 말은 책을 함축적으로 표현한다고 생각합니다. 제목도 '원씽'인 만큼 하나의 일에 집중하라는 말 일 것이겠지만 좀 더 자세히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이 책은 총 18개의 장과 1,2,3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앞의 1,2,3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야기하고 3개의 부로 나누어 내용을 전달해 줍니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focus)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p.18 첫 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p.26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번에 하나씩.. 더보기 <아주 작은 반복의 힘>로버트 마우어 책 리뷰 오늘 읽은 책은 로버트 마우어의 입니다. 2021년 새해가 시작되고 벌써 3월의 반 정도 지나가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새해를 시작하며 계획했던 일들을 꾸준히 잘 지키고 계신가요? 저는 다른 건 몰라도 책은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책 읽는 게 취미이기도 하고, 공부 목적으로 책을 읽고 있어서 잘해오고 있지만 저도 처음부터 책을 좋아했던 건 아닙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책을 읽는게 취미가 된 건 군대를 전역하고 난 후인 대학교 3학년부터였습니다. 시를 좋아해서 얇은 시집을 한 권 두권 읽다 보니 어느새 책의 주제와 상관없이 다 읽고 있었고, 그렇게 책 읽는 게 취미가 됐습니다. 얇고 쉬운 책부터 한 권 두권 읽던 게 지금까지 꾸준히 책을 읽는 습관을 만들어 주었던 것입니다. 의도한 건 아니었지만 이 책에서 .. 더보기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인간관계 자기계발서(자기개발서) 들어가기에 앞서 자기'계'발서(自己啓發書)와 자기'개'발서(自己開發書)는 국립국어원에서 둘 다 옳은 명칭이라고 하였습니다. 개발 -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계발 -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국립국어원의 국어대사전에 등록되어 있으며, 의미가 비슷하여 둘 다 옳은 명칭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나 사회에서의 인간관계에 있어 완벽한 사람이 있을까. 사회 초년생인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좋은 사람이 있으면 불편한 사람이 있고, 대화가 잘되는 사람이 있는 반면 한마디로 대화가 끊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라는 책을 추천하려 합니다. 이 책은 1936년에 출간된 책으로 80년도 더 된 책입니다. 출간이 오래된 만큼 출판사도 많고 번역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책을 처음 읽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