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현대 엘리트 계층, 보보스를 아시나요? <부르주아이자 보헤미안인 사람들 보보스>

반응형

오늘날 우리는 물질적 성공과 창의적 가치가 공존하는 새로운 엘리트 계층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바로 데이비드 브룩스(David Brooks)가 그의 저서 <보보스>에서 소개한 “보보스”입니다. 보보스는 **부르주아(Bourgeois)**와 **보헤미안(Bohemian)**의 합성어로, 이들은 경제적 풍요와 문화적 세련미를 동시에 추구하는 독특한 집단입니다. 이번 책은 읽기가 그렇게 수월하지 않았지만 보보스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보보스란 누구인가?

보보스는 물질주의적 가치와 비물질적 가치를 융합한 새로운 엘리트 계층입니다.

  • 부르주아와 보헤미안의 결합
    • 부르주아는 경제적 성공과 물질적 풍요를 중시하는 계층이고, 보헤미안은 예술과 창의적 가치를 강조하는 반문화적 집단입니다.
    • 보보스는 이 두 극단적 가치를 조화롭게 결합한 존재로, 물질적 성공을 누리면서도 환경, 윤리, 창의성 같은 비물질적 가치를 중요시합니다.
  • 그들의 모습
    • 아이비리그와 같은 명문 교육을 받았고, 고소득 전문직에 종사합니다.
    • 소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며, 친환경 제품이나 공정무역 상품처럼 윤리적인 소비를 선호합니다.
    •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균형 잡힌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합니다.

2. 보보스의 가치관

보보스의 가치관은 현대 사회의 문화적 변화를 반영합니다.

  • 지적 엘리트주의
    보보스는 학문적 성취와 지적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를 사회적 성공의 기반으로 여깁니다.
  • 소비에서의 도덕성
    이들은 단순히 비싼 제품을 소비하지 않고, 제품의 철학이나 윤리적 배경을 중시합니다. 공정무역 커피, 친환경 가구, 수제 상품 등이 이들의 대표적인 소비 품목입니다.
  • 일과 여가의 융합
    보보스는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며, 일과 여가의 경계를 허물고자 합니다. 그들에게 직업은 단순히 생계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3. 보보스의 사회적 영향력

보보스는 경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경제적 변화
    전통적인 자본주의 소비 문화를 재정의하며, 윤리적 소비와 가치 소비를 확산시킵니다.
  • 문화적 융합
    하위문화와 상위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독창적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를 형성합니다.
  • 정치적 영향
    진보적 가치와 실용주의적 접근을 결합하여 새로운 정치적 흐름을 만들어냅니다.

4. 보보스를 둘러싼 비판

보보스는 긍정적인 면만큼 비판도 받습니다.

  • 위선적 태도
    겉으로는 윤리적이고 이상적인 삶을 지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신들의 특권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모습이 보이기도 합니다.
  • 사회적 불평등
    보보스가 창출한 새로운 문화는 계층 간 격차를 심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그들의 생활방식은 고소득과 고학력이라는 기반 위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5. 한국에서의 보보스

한국에서도 보보스와 유사한 계층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스타트업 창업자, 젊은 고소득 직장인들 사이에서 친환경 소비와 가치 소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 한국 보보스는 사회적 변화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독특하게 결합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보보스는 현대 자본주의와 문화적 진화의 산물로, 새로운 엘리트 계층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경제적 풍요와 문화적 가치를 융합하며 사회에 새로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삶이 가져오는 사회적 불평등이나 위선적 태도에 대한 비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보보스라는 개념은 우리가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앞으로도 이들의 영향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데이비드 브룩스는 이 책에서 보보스의 장점과 한계를 균형 있게 다루며, 이 새로운 계층이 현대 사회에 끼친 영향을 탐구합니다. 독자들에게는 사회 변화를 이해하고 자신이 속한 문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응형